First Project 회고록
·
BootCamp_Codestates/First Project
백엔드 포지션으로 2주 간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2주라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해당 웹서비스에 필요한 백엔드 파트 기능들은 왠만큼 구현하여 선방(?)했다고 생각은 하지만.. 역시 아쉬운 마음이 드는데, 소셜로그인을 구현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주된 이유는 프로젝트 기획 초기에 OAuth 기능을 어떻게 구현할지에 대해 밀도있게 의견을 공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이번 회고록에서는 아래와 같이 내가 구현했던 파트와 Final project 에서 보충할 부분을 기입했다. 파이널 때에는 아쉬움을 남기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 구현 파트 유저 Side API 구현 로그인, 로그아웃, 회원가입, 회원탈퇴 , 유저정보등록 컨텐츠 업데이트, 댓글 업데이트, 비밀번호 업데이트, 유저정보 업데이트 이메일 ..
20210211 TIL multer 로 S3 에 이미지 업로드
·
BootCamp_Codestates/First Project
S3 에 이미지 업로드 뭐했지..?
20210210 TIL 비동기
·
BootCamp_Codestates/TIL
회원 탈퇴 기능 API 구현(duser) const { user, content, image, comment } = require('../../models'); const { isAuthorized } = require('../tokenFunctions'); const { refreshToken } = require('../tokenFunctions/refreshtokenrequest'); module.exports = { delete: async (req, res) => { //TODO: 유저 회원탈퇴 로직 const accessTokenData = isAuthorized(req); if (!accessTokenData) { refreshToken(req, res); } else { const user..
20212009 TIL crypto 모듈을 사용한 암호화
·
BootCamp_Codestates/First Project
crypto 모듈을 사용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 암호화 회원가입 API 코드 const { user } = require('../../models'); const crypto = require('crypto'); require('dotenv').config(); module.exports = { post: (req, res) => { // TODO : 회원가입 로직 및 유저 생성 로직 작성 const { email, name, password, nickname, mobile } = req.body; const encrypted = crypto .pbkdf2Sync(password, process.env.DATABASE_SALT, 100000, 64, 'sha512') .toString('base64');..
20210208 TIL OAuth!!
·
BootCamp_Codestates/First Project
Social Sign in 구현중.... KAKAO OAuth 참고했던 사이트(SDK 이용한 방법): 1. webruden.tistory.com/272 2. velog.io/@leesangsu200/%EC%B9%B4%EC%B9%B4%EC%98%A4-%EB%A1%9C%EA%B7%B8%EC%9D%B8-%EA%B8%B0%EB%8A%A5-%EA%B5%AC%ED%98%84-%ED%94%84%EB%A1%A0%ED%8A%B8%EB%A6%AC%EC%95%A1%ED%8A%B8 m.blog.naver.com/hsoojy_/222098729078 Front-End 부분 1. 2. login 부분만 구현을 해보았다. => 서버 측의 역할을 가늠하기 위해서... => 로그인이 성공한 유저의 경우, 바로 해당 accesstoke..
20210205 TIL
·
BootCamp_Codestates/TIL
오늘 한일 AWS 로 HTTPS 배포 테스트(EC2, RDS, ELB, Route53, Certificate Manager 이용) EC2 는 배포된 상태에서 진행. 1. Freenom 으로 무료 도메인을 발급. 2. SSL 인증서 발급 3. Route53 이용하여 DNS(Domain Name Server) 에 도메인 등록 4. ELB 생성 및 EC2 에 연결 5. Route 53 이용, 도메인과 ELB 연결 느낀점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구축하려니 힘이 들었다. 아침 11시부터 시작해서 저녁 8시쯤 작동 확인이 되었다. 구현은 되었지만 여전히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다. 하나하나 다시 들여다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