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필수 반응형 CSS 단위 정리
·
Computer Science/Terminology and Concepts
px: font 에 따라 글씨 크기가 달라진다. em: 선택된 폰트에 상관없이 항상 고정된 사이즈를 가진다. 부모의 폰트사이즈에 상대적으로 계산된다. 부모의 폰트 사이즈에 곱한 값. (개발자도구에서 확인 가능) rem: root 에 지정된 폰트사이즈에 따라 크기가 결정된다. 즉, html 이나 body 에서 따로 사이즈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html font-size 가 100% 로 지정되는데, 이는 브라우저에서 지정한 폰트사이즈를 따라간다는 말. 브라우저 환경에서 폰트사이즈를 변경하면 이에 따라 웹 폰트 사이즈가 변경된다. v: viewport related %: parent related 결론 픽셀은 왠만하면 사용하지 말자. 고정값이 필요할 경우엔 rem 을 사용하자. vh, vw 를 사용하여..
Difference between URI and URL
·
Computer Science/Terminology and Concepts
The terms “URI” and “URL”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but they are not exactly the same. A URI is an identifier of a specific resource. Like a page, or book, or a document. A URL is special type of identifier that also tells you how to access it, such as HTTPs, FTP, etc.—like https://www.google.com. If the protocol (https, ftp, etc.) is either present or implied for a domain, you should call..
Rest API
·
Computer Science/Terminology and Concepts
Rest 의 개념 Rest 의 장단점 Rest 의 필요성 Rest 의 구성요소 Rest 의 특징 Rest API 란 Rest API 의 특징 Restful 이란 Rest 의 개념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자원: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문서, 그림, 데이터, 해당 소프트웨어 자체 등 자원의 표현: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DB의 학생 정보가 자원일 때, ‘students’를 자원의 표현으로 정한다. 상태(정보) 전달: 데이터가 요청 되어지는 시점에 자원의 상태(정보)를 전달한다. JSON 혹은 XML를 통해..
정적 웹 페이지, 동적 웹 페이지의 차이
·
Computer Science/Terminology and Concepts
https://titus94.tistory.com/4
WEB 과 WAS 의 차이점
·
Computer Science/Terminology and Concepts
■ 웹서버(WEB)란? 웹서버는 말그래도 작성된 html페이지 등을 네트워크망에 종속되지 않고, 웹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란? 웹 서버 + 웹 컨테이너 인터넷 상에서 HTTP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 서버 콘텐츠를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웹 서버와 구별이 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수행이 된다. 웹 서버 + 웹 컨테이너로 웹 상에서 사용하는 컴포넌트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 서버이다. JSP와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SW를 웹 컨테이너라고 한다. - 기본 기능 1)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데이터베이스 접속..